간염(Hepatitis)은 간의 염증 상태를 의미하며 간염의 원인과 간세포 손상 정도에 의해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간염의 종류로는 바이러스성 간염과 만성 간염, 알코올성 간염과 중독성 간염 등으로 구분이 되는데요, 바이러스가 문맥과 간엽으로 들어와 자리를 잡으면서 간실질 조직의 염증과 파괴가 진행되는 것입니다. 즉 Kupffer cell이 비후화 되면서 미생물 등의 이물질에 대한 여과 기능이 저하되고 간실질 조직의 염증으로 빌리루빈 대사에 문제 발생합니다.
간염 증상_A형 간염, B형 간염, C형 간염의 구분 및 예방접종
바이러스성 감염의 경우는 흔히 A형, B형, C형으로 구분이 되는데요, A형 간염의 경우 위생상태가 불결한 지역에서 대변을 통해 오염된 음식물을 매개로 일어나게 되는데, 잠복기는 2~8주 정도이며 주로 어린이와 젊은 성인에게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습니다. A형 간염을 예방하기 위해선 Havrix 백신을 이용하게 됩니다. B형 간염은 간염 환자의 혈청, 성적인 접촉, 체액 분비물과 모유를 통해 전염이 되며, 의료인들이게 걸릴 위험이 높고 잠복기는 6주에서 6개월 정도로 길게 나타납니다. B형 간염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될 수 있으며 예방을 위해선 Hepatavax 백신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C형 간염의 경우 A형 간염이나 B형 간염에 속하지 않는 바이러스성 간염으로 흔히 수혈이나 성접촉에 의해 전파되고 있습니다. 잠복기는 2주에서 6개월 정도로 길고, HBIG 백신을 이용하게 됩니다.
만성 간염의 경우 간 기능이나 간 조직의 비정상 상태가 6개월 이상 지속되는 만성 간염으로 , 주로 바이러스성 B형 간염의 속발성으로 나타나고 혈압강하제와 항결핵제 등의 약물 사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알코올성 간염은 알코올의 과다 섭취로 간 실질조직이 괴사 되어 나타나는 급성 또는 만성 염증으로써 간경화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만성 알코올 중독자의 1/3 정도에서 만성 알코올성 간염으로 진행된 느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독성 간염의 경우는 간세포에 손상을 주는 약물이나 중금속 중독에 의해 발생하고 있는데 해열제, 탄소 중금속, 흡입마취제나 할 결핵제 등이 발생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적인 간염 증상은 식욕부진, 불쾌감, 오심, 구토와 함께 상기도 감영증이 잘 나타나고 담배가 싫어집니다. 주로 39.5 ℃ 미만의 미열이 있으며 간종대, 황달, WBC감소와 함께 간생검에서 간세포의 괴사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간세포 손상으로 혈중 빌리루빈이 높아지면서 피부 소양감이 있고, 빌리루빈과 유로 빌리루빈의 소변 배설로 소변의 색깔이 짙어지고, 담도계를 통한 담즙 분비가 안될 수 있습니다. 담즙 분비의 감소는 vit K의 흡수를 저하시키고, 프로스롬빈의 합성을 방해하게 되므로 출혈 경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간의 변성으로 적혈구 수명이 단축되고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2.5mg/100ml 이상이 되면 활달이 나타나며, 20mg/100ml 이상으로 증가되면 간세포의 심한 손상을 의미하기 때문에 예후가 좋지 않게 됩니다. 또한 경한 단백뇨, 빌리 루 빈뇨증, 등이 있습니다.
간염 치료
간염 치료는 SGOT와 SGPT가 정상으로 되고 대변 색이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침상안정과 같은 절대 안정을 취하며, 오심 및 구토로 인해 구강 섭취가 감소하게 되면 10% 포도당을 정맥 주사받게 됩니다. 특히 간성 혼수의 증상이 나타나면 단백질 식단은 중단하고 고탄수화물 식단을 준비하게 됩니다.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을 소량씩 자주 먹고 지방 섭취는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간세포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아스피린과 같은 약물을 피하고, 진정제 및 마약성 진통제는 주의하여 투여받도록 합니다. 스테로이드 제제가 괴사 된 간세포의 재생에는 효과가 없지만 혈청 내 빌리루빈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는데요, 하지만 에스트로겐은 혈청내 빌리루빈의 상승을 가져오게 되므로 급성 간염기에는 경구 피임약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상적 회복은 3~16주에 이루어지지만 임상소견 상의 간 기능 장애는 상당기간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사망률의 경우 1% 미만이지만 고령일수록 특히 폐경기 이후의 여성에게는 사망률이 현저히 증가할 수 있습니다.